참고자료

[구제역] `공포의 구제역’ 바다 건너 250㎞까지 전염

<`공포의 구제역' 바다 건너 250㎞까지 전염>


 








<그래픽> 구제역(FMD) 개요

(서울=연합뉴스) 전승엽 기자 = 구제역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 감염되는 질병을 말한다.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입술, 혀, 잇몸, 코, 발굽 사이등에 물집(수포)이 생기며 체온이 급격히 상승되고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거나 죽게 된다.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A급질병(전파력이 빠르고 국제교역상 경제피해가 매우 큰 질병)으로 분류하며 우리나라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kirin@yna.co.kr


전염위험성과 비용 때문에 국내연구소는 한 곳뿐
“전문가 부족해 구제역 발생 때마다 `허둥’”

출처: 연합뉴스  2010/04/23 14:51 송고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0/04/23/0302000000AKR20100423124200004.HTML?template=2087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전국 곳곳으로 확산해 축산농가를 공포에 빠뜨린 구제역은 연구조차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전염성이 강하다.

   바람을 타고 퍼지면 내륙에서 60㎞, 바다에서는 250㎞까지 전파될 수 있고 접촉으로도 쉽게 전염돼 바이러스 배양 등의 직접적인 연구가 엄격히 제한된다.

   23일 수의학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하는 곳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뿐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운영되는 이곳 연구실은 구제역 진단은 물론,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등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보유하며 연구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돼 있다.

   검역원은 연구실의 공기를 완전히 차단하는 차폐시설과 안팎의 압력을 조절하는 음압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실험복의 외부 반출을 금지하는 등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수의과학검역원 박종현 연구관은 “정부가 아닌 다른 기관에서 연구를 하다 보면 위험요소가 더 커진다”며 “국내에서는 검역원 실험실 외에서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다루기 어렵고 전문가도 별로 없다”고 말했다.

   외국도 구제역 연구가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미국의 유일한 구제역 연구기관인 플럼아일랜드 동물질병센터(PIADC)는 뉴욕주에서 배로 30분가량 걸리는 외딴 섬에 있다.

   미국 연방정부가 1954년 외국에서 유입되는 동물전염병에 대응하려고 설립한 이 연구소는 하수와 쓰레기를 모두 열처리하는 등 안전관리에만 1천만 달러 이상의 막대한 예산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제역과 돼지수포병 등 동물전염병 연구의 세계적 권위기관인 영국 퍼브라이트 연구소 역시 철저한 안전관리로 유명하다.

   1970년대 이곳에서 구제역을 연구했던 건국대 수의대 김순재 명예교수는 “선진국 연구소 중에서는 드물게 담을 쳐놓고 주변 농장의 가축들을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데 많은 인력을 투입한다”며 “전파 위험 때문에 러시아와 독일 등 대부분 나라는 연구소를 섬에 둔다”고 전했다.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 다루려면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병원체별 생물안전등급(BSL) 3등급 수준의 연구시설이 필요하다.

   생물안전등급은 바이러스의 전염성과 위험도에 따라 실험실과 장비가 갖춰야 할 조건을 정해놓은 가이드라인으로, 페스트와 탄저균ㆍ조류 인플루엔자(AI)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등이 3등급에 해당한다.

   3등급 연구시설은 독립된 건물에 차폐ㆍ음압시설과 이중 출입문을 갖춰야 하는 등 최소 수십억원의 큰돈이 들어 정부의 지원 없이는 사실상 연구하기 어렵다는 게 수의학계의 판단이다.

   건국대 수의대 류영수 교수는 “차폐 시설을 아무리 작게 지어도 100억원이 필요하고 짓고 나서도 지속적으로 운영하려면 어려움이 많다”며 “국가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대학은 그런 여력이 전혀 없다”고 전했다.

   연구가 제한되다 보니 전문가가 없어 구제역이 발생할 때마다 이번처럼 허둥댈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순재 교수는 “구제역이 발생하기 전인 2000년대 이전에 연구인력을 양성했지만, 아직 20여명 수준으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문가가 더 있어야 역할을 분담해 연구하고 토론하면서 깊이 파고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류 교수는 “발병 초기에는 구제역인지 아닌지 잘 모르고 지금까지 자주 발생하지 않아 현장에서 임상적으로 빨리 진단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교육해야 한다”며 “전쟁도 시나리오를 짜서 훈련하듯 가상상황을 정하고 전문가들을 1년에 한두 번씩 모아 대응 방식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tele@yna.co.kr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