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내용 (질병관리본부)
Q. 신종인플루엔자에 걸렸을 때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큰 위험집단에 해당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 천식, 기관지염,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 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사람
● 심장병, 당뇨병, 만성적 대사질환, 신장이나 신경계, 혈액계에 질환이 있는 사람
● 면역이 억제된 환자 (암이나 에이즈 환자)
● 임산부(특히 2-3개월 된 임산부)
● 비만인 사람
● 흡연자
<항바이러스제 투약 대상군>
구분 | 비고 |
계 | |
65세 이상 노인 | |
만성질환자 | |
- 폐질환 | 만성폐쇄성폐질환(만성기관지염, 페기종), 기관지확장증, 진폐증, 기관지폐형성이상, 천식 등 |
- 만성 심혈관 질환 | 선천성심장질환, 만성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등 (※ 단순 고혈압 제외) |
- 당뇨 |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필요로 하는 당뇨병 |
- 신장질환 | 신증후군, 만성신부전증, 신장이식환자 등 |
- 만성간질환 | 간경변 등 |
- 악성종양 | |
- 면역저하자 | 무비장증, 비장기능이상, HIV 감염자, 화학요법치료로 면역저하유발,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한달이상 복용, 기타 면역억제 치료자 |
임신부 | |
59개월 이하 소아 |
* 전문가회의(‘09.7.29)
================================
=================================
고위험군
구분
비고
65세 이상 노인
만성질환자
- 폐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진폐증,
기관지폐형성이상, 천식 등
- 만성 심혈관 질환
선천성심장질환, 만성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등
(※ 단순 고혈압 제외)
- 당뇨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필요로 하는 당뇨병
- 신장질환
콩팥증후군, 만성신부전증, 신장이식환자 등
- 만성간질환
간경변 등
- 악성종양
- 면역저하자
무비장증, 비장기능이상, HIV 감염자, 화학요법치료로 면역저하유발,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한달이상 복용, 기타 면역억제 치료자
- 기타
인지장애, 척수손상, 경련장애, 기타 신경근육질환 등으로 인해 흡인의 위험이 있는 자
임신부 및 분만 후
2주 이내 산모
59개월 이하 소아
대규모 행사 개최 시 감염예방 지침
※ 고위험군 : 65세 이상 노인, 59개월 미만 소아, 임신부, 만성질환자
============================
WHO가 추천하는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예방 수칙
![]() |
● 천식, 기관지염,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 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사람 ● 심장병, 당뇨병, 만성적 대사질환, 신장이나 신경계, 혈액계에 질환이 있는사람 ● 면역이 억제된 환자 (예를 들어서 암이나 에이즈 환자) ● 임산부(특히 2-3개월 된 임산부) ● 비만인 사람 ● 흡연자 |
===========================

![]() |
![]() 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예방 및 환자관리 지침(‘09.10.26 기준(개정6판))
급성열성호흡기질환이 있으면서 인플루엔자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고위험군
가. 59개월 이하 소아
나. 임신부 및 분만 후 2주 이내 산모
다. 65세 이상 노인
라. 만성질환자
구분 | 비고 |
폐질환 | 만성폐쇄성폐질환(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진폐증, 기관지폐형성이상, 천식 등 |
만성 심혈관 질환 | 선천성심장질환, 만성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등 (※단순고혈압 제외) |
당뇨 |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필요로 하는 당뇨병 |
신장질환 | 콩팥증후군, 만성신부전증, 신장이식환자 등 |
만성간질환 | 간경변 등 |
악성종양 |
|
면역저하자 | 무비장증, 비장기능이상, HIV 감염자, 화학요법치료로 면역저하유발,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한달이상 복용, 기타 면역억제 치료자 |
기타 | 인지장애, 척수손상, 경련장애, 기타 신경근육질환 등으로 인해 흡인의 위험이 있는 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