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연합]“청소년 ‘대사증후군’, 미국은 줄고 한국은 는다”

“청소년 ‘대사증후군’, 미국은 줄고 한국은 는다”

분당서울대병원 “한국은 매년 2만2천명씩 증가세”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최근 10년 사이 미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발병률은 갑절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팀은 미국 테네시대학 리구오리(Liguori) 교수팀과 함께 한국과 미국의 12~19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 변화 추세를 살펴본 결과, 한국의 경우 1998년 4%에 그쳤던 유병률이 2007년에는 7.8%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비해 미국은 1988~1994년 7.3%에 달했던 유병률이 2003~2006년에는 6.5%로 11% 가량 낮아졌다.

이번 조사는 1988~2006년 한국과 미국에서 3~4차례에 걸쳐 각기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사증후군은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가 40㎎/㎗ 이하이면서 혈압(130/85 ㎜Hg), 혈당(110㎎/㎗), 혈중 중성지방(150㎎/㎗)이 높고 복부비만인 경우를 말한다.

문제는 대사증후군에 해당하는 청소년은 성인이 되가면서 당뇨병과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커지고 이에 따른 치명적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진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2만2천여명의 청소년이 새롭게 대사증후군에 걸리는 것으로 분석했다. 매년 0.4%씩 대사증후군이 증가하는 셈이다.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5개 항목별로 보면 중성지방이 높은 청소년이 1998년 25.0%에서 2007년에 31.2%로 급증했다. 또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가 낮은 청소년이 1998년 13.3%에서 2007년 23.8%로 늘었고, 복부 비만에 해당하는 청소년도 1998년 9.5%에서 2007년에 12.4%로 증가했다.

의료진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증가 원인으로 고지방, 고칼로리로 대표되는 서구화된 식사 습관과 교통수단의 발달, 방과 후 과도한 학업생활, 인터넷·스마트폰의 보급 등에 따른 신체 활동량 감소를 꼽았다.

임수 교수는 “서구화된 식사패턴과 신체 활동의 감소가 교정되지 않는 한 청소년 대사증후군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며 “학교와 가정에서 저지방, 저칼로리 식사를 제공하고 체육 시간을 늘려 신체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아청소년의학 분야 권위지인 ‘소아과학회지(pediatrics)’ 최근호에 발표됐다.

bio@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
원 논문의 초록입니다. 
 2013 Jan;131(1):e214-22. doi: 10.1542/peds.2012-0761. Epub 2012 Dec 3.

Changes in metabolic syndrome in American and Korean youth, 1997-2008.

Source

College of Medicine,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

Metabolic syndrome (MetSyn) in children and adolescence is increasing worldwide; however, its pattern may be different between Asians and Americans. We compare the prevalence and patterns of MetSyn between American and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etween roughly 1998 and 2007.

METHODS:

Data from the American and Korean versions of the NHANES (NHANES and KNHAN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main outcome is prevalence and pattern of MetSyn among participants separately in each country. In each survey, stratified multistage probability sampling designs and weighting adjustments were conducted to represent the entire population. The revis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criteria were used to define MetSyn.

RESULTS:

Totals of 934, 1781, and 1690 Americans aged 12 to 19 participated in NHANES 1988-1994, NHANES 1999-2002, and NHANES 2003-2006, respectively; and 1225, 976, 705, and 456 Koreans aged 12 to 19 have participated in KNHANES 1998, 2001, 2005, and 2007.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MetSyn in American NHANES decreased from 7.3% to 6.7% and 6.5%, whereas in Korean NHANES there was an increase from 4.0% to 5.9%, 6.6%, and 7.8% in each country’s respective study. Increases in dyslipidemia and abdominal obesity contributed to the increased prevalence in Korea, whereas in the United States, decreases in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emia and high blood pressure contributed to a decreased prevalence.

CONCLUSIONS:

Considering different phenotype changes, different approaches should be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to reduce the burden and consequences of MetSy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