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우울증/자살] 우울증, 자살 그리고 한국사회

첨부파일

우울증,_자살_그리고_한국사회_Round-table_Conference.pdf (2.11 MB)국내_우울증의_질병부담과_치료현황.pdf (2.74 MB)

제                목 우울증, 자살 그리고 한국사회 Round-table Conference
발      행      일 2010-12-31
면                수 79
연   구  방   법 기타
연 구 책 임 자 안정훈
원문다운로드 pdf우울증,_자살_그리고_한국사회_Round-table_Conference.pdf (2.1 MB)

출처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http://www.neca.re.kr/center/researcher/report_view.jsp?boardNo=GA&seq=47&q=63706167653d3626626f6172644e6f3d474126736561726368436f6c3d2673656172636856616c3d2673656172636853596561723d2673656172636845596561723d

결론 및 정책제언

 

 

청소년 우울증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유병률 4.5%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이 우려되며, 노인 우울증 증상은 성인과 달라 성인과 동일한 진단기준으로 조사하게 되면 과소 추계 될 위험이 있어 노인 우울증을 감별진단 할 수 있는 진단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자살의 경우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있는데 위험요인이 증가했을 때는 보호요인들을 증가시켜 자살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5년 간격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신건강실태조사를 2-3년 간격으로 실태조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며, 자살 직전의 사람들에게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생명존중에 대한 사회적 가치 정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학교에서의 지속적인 생명존중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자살에 대한 편견이 심한 우리나라에서 자살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심리적 부검을 활성화위해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변형된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 정부기관, 경찰 등의 관련기관의 협조와 예산과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제                목 국내 우울증의 질병부담과 치료현황
발      행      일 2011-06-22
면                수 98
연   구  방   법 기타
연 구 책 임 자 허대석
원문다운로드 pdf국내_우울증의_질병부담과_치료현황.pdf (2.7 MB)

출처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http://www.neca.re.kr/center/researcher/report_view.jsp?boardNo=GA&seq=6&q=63706167653d3626626f6172644e6f3d474126736561726368436f6c3d2673656172636856616c3d2673656172636853596561723d2673656172636845596561723d

결론 및 정책제언

 

 

RTC를 통해 현재 의학적 치료를 요하는 심각한 우울 장애를 앓고 있는 우리 국민이 2백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나 적극적으로 의학적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이들의 10% 수준에 불과하여 자살률 증가, 의료비 상승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자살기도자의 60~72%가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어 자살은 고의적 자해가 아니라 치료가 필요한 의학적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살은 의학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효과적인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의학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 사회적 인식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

 

우울증의 합리적인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진단도구 개발, 정기적 대규모 실태조사 시행과 이에 대한 감시체계를 마련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이 시급하다. 우울증과 자살 관련하여 현재 활용가능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등 많은 자료가 있으나 각 기관의 자료 연계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공익적 목적을 위한 연구의 경우, 각 기관의 자료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범국가적 자살예방정책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